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 해외 송금할 때 수수료 아끼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해외로 송금을 하거나 국제 금융 거래를 진행할 때 반드시 필요한 것이 바로 스위프트 코드(SWIFT Code)입니다. 이 코드는 전 세계 은행 간 거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정 은행을 식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위프트 코드의 개념과 국내 주요 은행들의 코드 목록을 정리하여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스위프트 코드(SWIFT Code)란?

     

    • *SWIFT Code(국제 은행 식별 코드, BIC - Bank Identifier Code)**는 전 세계 금융 기관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고유 코드입니다. 이는 국제 송금, 해외 결제, 외환 거래 등의 금융 업무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스위프트 코드는 보통 8자리 또는 11자리로 구성됩니다.

    • 앞 4자리: 은행 식별 코드 (예: HANA - 하나은행)
    • 다음 2자리: 국가 코드 (KR - 대한민국)
    • 그 다음 2자리: 지역 코드 (SE - 서울)
    • 마지막 3자리(선택 사항): 특정 지점을 식별하는 코드 (XXX - 본점)

     

    예를 들어, 하나은행의 스위프트 코드는 HANA KR SE XXX로 표현됩니다.

     

     

     

     

    국내 주요 은행 스위프트 코드 정리

     

    다음은 한국 내 대표적인 은행들의 스위프트 코드 목록입니다. 해외에서 송금을 받을 때 필요한 코드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은행명 SWIFT 코드
    카카오뱅크 KAKOKR22
    토스뱅크 TOBNKRSE
    경남은행 KYNAKR22
    대구은행 DAEBKR22
    우리은행 HVBKKRSE
    신한은행 SHBKKRSE
    하나은행 KOEXKRSE
    SC제일은행 SCBLKRSE
    농협은행(NH) NACFKRSE
    Sh수협은행 NFFCKRSE
    우정사업본부(우체국) SHBKKRSEKPO
    KB국민은행 CZNBKRSE
    한국씨티은행 CITIKRSX
    케이뱅크 CITIKRSXKBA
    한국은행 BOKRKRSE
    IBK기업은행 IBKOKRSE
    KDB산업은행 KODBKRSE
    한국수출입은행 EXIKKRSE
    BNK부산은행 PUSBKR2P
    전북은행 JEONKRS1022
    제주은행 JJBKKR22
    광주은행 KWABKRSE

     

     

     

    스위프트 코드 사용 시 주의할 점

     

    • 은행 코드가 정확한지 확인하세요: 잘못된 코드를 입력하면 송금이 실패하거나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해외 송금 시 은행의 추가 요구사항 확인: 일부 은행은 SWIFT 코드 외에도 계좌번호(IBAN) 또는 중개은행 정보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 은행마다 다른 송금 수수료: 국제 송금 수수료 및 환율 정책이 은행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외 송금 수수료 절약하는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위프트 코드(SWIFT Code)의 개념과 국내 주요 은행들의 코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해외 송금을 계획하고 있다면 반드시 본인의 은행 코드가 정확한지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 해외 송금 수수료 절약하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반응형